본문 바로가기
모든 정보

봄·가을 간절기 산불 위험 10배 증가! 원인과 반드시 알아야 할 예방법

by 옌꾸 2025. 3. 28.
반응형

간절기 산불 원인과 예방법
간절기 산불 원인과 예방법

최근 산불관련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면서 산불 관련 안전안내문자가 계속해서 오고있죠. 더 큰 피해가 없기를 바라며 산불관련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간절기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 혹은 가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 시기에는 대기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하게 불어 산불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됩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산지가 많은 지역에서는 작은 불씨 하나가 순식간에 대형 산불로 번질 위험이 큽니다. 그렇다면 간절기에 산불이 쉽게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대형 산불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효과적인 산불 예방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간절기 산불 발생 확률

간절기(봄·가을)에는 산불 발생 위험이 다른 계절보다 높습니다. 강원도에서 2015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발생한 산불 502건 중 약 60%가 봄철(3~5월)에 집중되었습니다. 이는 여름철(6~8월) 14%, 가을철(9~11월) 6%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입니다.

또한, 최근 10년간(2011~2020년) 전국 산불의 58%가 봄철에 발생하였으며, 2017년 이후 매년 100ha 이상의 피해를 입힌 대형 산불이 봄철에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통계를 종합하면, 간절기인 봄철에는 산불 발생 확률이 다른 계절보다 약 4배에서 10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기후 변화로 인한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 그리고 인간 활동의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간절기 산불이 쉽게 발생하는 이유

1) 건조한 기후와 낮은 습도

간절기에는 기온 변화가 급격하고 강수량이 적습니다. 겨울 동안 얼어 있던 땅이 녹기 시작하면서 수분이 증발하고, 대기가 점점 건조해집니다. 특히 강수량이 적은 해에는 습도가 더욱 낮아져 산림이 건조해지고, 작은 불씨에도 쉽게 불이 붙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낙엽과 마른 가지가 쉽게 불쏘시개 역할을 하며,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을 크게 높입니다.

2) 강한 바람과 불의 확산

간절기에는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서 강한 바람이 발생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봄철에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부는 편서풍과 더불어 지역적인 돌풍까지 더해지면서 산불의 확산 속도가 매우 빨라집니다. 한 번 불이 붙으면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넓은 지역으로 번지며, 소방 인력의 대응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산불 초기 진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3) 인간 활동 증가

간절기는 야외 활동이 증가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등산, 캠핑, 농업 활동 등이 활발해지면서 산림 인근에서의 화기 사용이 잦아집니다. 특히 논밭을 태우는 소각 행위나 부주의한 흡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이처럼 인간의 작은 실수 하나가 돌이킬 수 없는 산불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형 산불의 주요 발화 원인

1) 부주의한 불씨 관리

대부분의 대형 산불은 인간의 부주의에서 비롯됩니다. 특히 농업 활동 중 논밭을 태우는 행위나 쓰레기 소각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람이 강한 날에 불을 피우면 예상보다 빠르게 확산되며, 초기 진화에 실패하면 대형 산불로 번질 위험이 커집니다. 또한 등산객의 담배꽁초 투기, 야영객의 모닥불 방치 등이 작은 불씨를 남겨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전기 및 기계적 요인

전기설비의 고장이나 차량에서 발생하는 불꽃도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송전선의 단락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파크가 건조한 낙엽에 떨어지면 불이 쉽게 붙습니다. 또한 벌목 작업 중 기계에서 발생하는 불꽃이나 주행 중 차량의 배기열이 마른 풀밭과 접촉하면서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공공기관과 기업은 전기 설비와 기계를 철저히 점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자연적인 요인

자연적인 요인으로는 낙뢰에 의한 산불이 대표적입니다. 건조한 날씨가 지속될 때 낙뢰가 나무에 직접 떨어지면 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보다 기온이 높은 국가에서는 번개에 의해 산불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자연 발화보다 인간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산불이 대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예방 대책이 더욱 중요합니다.

마치며

간절기는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인해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시기입니다. 인간의 부주의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작은 불씨 하나가 대형 산불로 번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개인, 공공기관, 기업이 협력하여 예방 대책을 철저히 수립해야 합니다. 산불 예방은 단순히 한 사람의 노력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실천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통해 산림을 보호하고 우리의 소중한 자연환경을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